쓰시마는 일본에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지역으로 섬 전체가 쓰시마시(市)에 속한다. 시 아래 6개읍(이즈하라[嚴原町], 미쯔시마[美津島町], 도요타마[豊玉町], 미네[峰町], 가미아가타[上縣町], 가미쯔시마[上對馬町])이 있고, 이즈하라에 쓰시마시청이 있다.
출처:백과사전
대마 두개의 말이 마주보고 있다하여 대마라 하였다한다.
1일차: 미우라해수욕장》점심》한국전망대》온천
만제교》이즈하라 숙소》나카라이 토스이》하치만구신사(팔번궁)
하타하츠항에 내려 100대 해변에 들어간다는 미우라해수욕장을 갔다.
한국전망대로 가기전에 간단한 식사를 하기 위해서 보잘것 없는 창고같은 집으로 갔다
사실이다. 일본사람들은 보여주기식 전시를 안한다는 사실이다.
식사도 정갈하게 나왔고 모자란듯 배부른듯
알다가도 모르는 나의 배를 위로 하면서 한국전망대를 올랐다.
온천에 갔는데 거기서도 조용하고 깨끗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수건과 비누를 비치하지 않는다.수건 100엔에 빌려 온천탕으로 들어갔다
온천안도 깔끔하고 단순하기 그지없다.
그나마 삼푸와 바디워시가 있어 다행이었다.
일제가 1905년 러ㆍ일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개설해 놓은 만제키세토 운하 위 다리
만관교에 도착했다.대마도는 이 다리를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가 나뉜다.
전쟁중에 일본은 러시아를 여기로 끌려들어 인공으로 만든 운하에서 임진왜란에 우리 수군이
쓰던 학위진으로 대성하여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에 들어간다.
그래서 역사란 아이러니 한것이다.
회담한장소인 나카라이 토스이 집을 찾았다.
나카라이 토스이는
대마도출신의 기자이자 소설가로 우리나라 소설 춘향전을 일본에 소개한 사람이다.
나카라이 집안은 대대로 대마도 번주의 주치의 가문으로 부산의 왜관에서 의사로 상주하던 아버지를 따라 소년기를 부산에서 보내면서 한국어를 배우게 된다
춘향전을 20회로 번역하여 연재하였는데 소설의 줄거리뿐만 아니라 주석도 달았다고 한다.
사실, 그를 더 유명하게 만든건 히구치 이치요의 스승이자 연모의 대상이였던 사람이라는 것이다.
나카라이를 이야기하면서 빠뜨릴 수가 없는 것이 2004년도에 발행된 일본 5000엔 지폐의 주인공인 여류작가 ‘히구치 이치요’
메이지 시대 최초의 여류소설가로 일본 근대 소설의 개척자로 알려져있다.
20살의 히구치는 소설가를 지망하여, 나카라이 (당시 32세)의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온다.
근대 소설의 여명기에 여성이라는 제약을 갖고 있으면서도 작가로서 자립하기 위해 분투했지만 사랑, 돈, 건강을 모두 잃고 폐결핵으로 25살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그녀의 사후 남겨진 일기를 통해 나카라이 도스이를 향한 연모의 정이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백과사전
간다고 한다.우리나라 절에 있는 검은기와에 글을
쓰고 비는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이곳은 오랜 역사를 간직한 신사 답게 엄청난 크기의 고목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조선의 마지막 옹주 덕혜옹주 결혼봉축비가 있는 성터이 곳은 덕혜옹주의 파란만장한 삶과 역사가 담겨져 있는 곳이다.
얻게된다. 그후 딸도 정신적인 병을 얻어 유서를
쓰고 실종되자 덕혜옹주는 병은 더 깊은진다
그녀의 남편마져 그녀를 버린다.
이승만은 그녀에게 부담느껴 고국의 귀향을 꺼렸어나 박정희때 귀향하여 낙선재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조선도 마지막공주도 그렇게 꺼져갔다.
100엔 상점 약국등이 있는 대형상점이다.
2일차 :에보시다케 전망대》》와타즈미신사》》점심》》비틀승선
향했다.
대마도의 조망일번지 "에보시다케 전망대" 에서는 육지의 침강에 의해 만들어진 아소만의 무수한 섬들과 몇겹의 산들이 만들어 내는 환상적인 풍경들을 360도 로 볼수 있는 곳이다.
와타즈미 신사 는 바다의 신을 모신 해궁 으로,용궁전설이 남아있는 곳이고 본전 정면의 바다위에 서 있는 5개의 토리이 가 조수에 따라 그 모습이 바뀌는 곳이다.
일본의 모든 신사며 신궁의 입구에 세운 기둥문이다.
신사의 경내에 들어서기 전에 세워져 있는 두개의 기둥과 두개의 가로대 나무로 만든것 으로
요즘은 콘크리트로 만들기도 한다.
새 조 (鳥) 자에 살거 (居) 로 나타내는 토리이는 글자 그대로 새가 사는곳이라는 뜻인데
하늘이 신의 말씀을 땅에 사는 인간들에게 전해주는 새는 성스러운신당터네 세운 드높은 장대의 꼭대기에 앉아있다고 생각해서 라고 한다.
출처:백과사전
점심먹고 비틀을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따라 못나지도 그렇다고 남에게 폐를 끼지지않은
지극히 개인주의면서 협력하고 친절한 민족임을
느꼈다.차분하고도 조용한나라 그자체만으로도
힐링이 아닐수 없었다.
여행을 여운으로 달래본다.
http://youtu.be/AdNs_ywgq7g
http://https://youtu.be/AdNs_ywgq7g
http://자연풍경펜션글램핑.kr
출처:백과사전
대마 두개의 말이 마주보고 있다하여 대마라 하였다한다.
1일차: 미우라해수욕장》점심》한국전망대》온천
만제교》이즈하라 숙소》나카라이 토스이》하치만구신사(팔번궁)
하타하츠항에 내려 100대 해변에 들어간다는 미우라해수욕장을 갔다.
한국전망대로 가기전에 간단한 식사를 하기 위해서 보잘것 없는 창고같은 집으로 갔다
사실이다. 일본사람들은 보여주기식 전시를 안한다는 사실이다.
식사도 정갈하게 나왔고 모자란듯 배부른듯
알다가도 모르는 나의 배를 위로 하면서 한국전망대를 올랐다.
온천에 갔는데 거기서도 조용하고 깨끗했다.
우리나라와는 달리 수건과 비누를 비치하지 않는다.수건 100엔에 빌려 온천탕으로 들어갔다
온천안도 깔끔하고 단순하기 그지없다.
그나마 삼푸와 바디워시가 있어 다행이었다.
일제가 1905년 러ㆍ일전쟁을 준비하기 위해 개설해 놓은 만제키세토 운하 위 다리
만관교에 도착했다.대마도는 이 다리를 중심으로
북부와 남부가 나뉜다.
전쟁중에 일본은 러시아를 여기로 끌려들어 인공으로 만든 운하에서 임진왜란에 우리 수군이
쓰던 학위진으로 대성하여 일본이 우리나라를 지배에 들어간다.
그래서 역사란 아이러니 한것이다.
회담한장소인 나카라이 토스이 집을 찾았다.
나카라이 토스이는
대마도출신의 기자이자 소설가로 우리나라 소설 춘향전을 일본에 소개한 사람이다.
나카라이 집안은 대대로 대마도 번주의 주치의 가문으로 부산의 왜관에서 의사로 상주하던 아버지를 따라 소년기를 부산에서 보내면서 한국어를 배우게 된다
춘향전을 20회로 번역하여 연재하였는데 소설의 줄거리뿐만 아니라 주석도 달았다고 한다.
사실, 그를 더 유명하게 만든건 히구치 이치요의 스승이자 연모의 대상이였던 사람이라는 것이다.
나카라이를 이야기하면서 빠뜨릴 수가 없는 것이 2004년도에 발행된 일본 5000엔 지폐의 주인공인 여류작가 ‘히구치 이치요’
메이지 시대 최초의 여류소설가로 일본 근대 소설의 개척자로 알려져있다.
20살의 히구치는 소설가를 지망하여, 나카라이 (당시 32세)의 가르침을 받고자 찾아온다.
근대 소설의 여명기에 여성이라는 제약을 갖고 있으면서도 작가로서 자립하기 위해 분투했지만 사랑, 돈, 건강을 모두 잃고 폐결핵으로 25살의 나이로 요절하고 만다. 그녀의 사후 남겨진 일기를 통해 나카라이 도스이를 향한 연모의 정이 알려지게 되었다.
참조:백과사전
간다고 한다.우리나라 절에 있는 검은기와에 글을
쓰고 비는것과 같다고 보면 된다.
이곳은 오랜 역사를 간직한 신사 답게 엄청난 크기의 고목들이 즐비하게 늘어서 있다.
조선의 마지막 옹주 덕혜옹주 결혼봉축비가 있는 성터이 곳은 덕혜옹주의 파란만장한 삶과 역사가 담겨져 있는 곳이다.
얻게된다. 그후 딸도 정신적인 병을 얻어 유서를
쓰고 실종되자 덕혜옹주는 병은 더 깊은진다
그녀의 남편마져 그녀를 버린다.
이승만은 그녀에게 부담느껴 고국의 귀향을 꺼렸어나 박정희때 귀향하여 낙선재에서 생을
마감했다고 한다.
조선도 마지막공주도 그렇게 꺼져갔다.
100엔 상점 약국등이 있는 대형상점이다.
2일차 :에보시다케 전망대》》와타즈미신사》》점심》》비틀승선
향했다.
대마도의 조망일번지 "에보시다케 전망대" 에서는 육지의 침강에 의해 만들어진 아소만의 무수한 섬들과 몇겹의 산들이 만들어 내는 환상적인 풍경들을 360도 로 볼수 있는 곳이다.
와타즈미 신사 는 바다의 신을 모신 해궁 으로,용궁전설이 남아있는 곳이고 본전 정면의 바다위에 서 있는 5개의 토리이 가 조수에 따라 그 모습이 바뀌는 곳이다.
일본의 모든 신사며 신궁의 입구에 세운 기둥문이다.
신사의 경내에 들어서기 전에 세워져 있는 두개의 기둥과 두개의 가로대 나무로 만든것 으로
요즘은 콘크리트로 만들기도 한다.
새 조 (鳥) 자에 살거 (居) 로 나타내는 토리이는 글자 그대로 새가 사는곳이라는 뜻인데
하늘이 신의 말씀을 땅에 사는 인간들에게 전해주는 새는 성스러운신당터네 세운 드높은 장대의 꼭대기에 앉아있다고 생각해서 라고 한다.
출처:백과사전
점심먹고 비틀을 타고 집으로 돌아왔다.
따라 못나지도 그렇다고 남에게 폐를 끼지지않은
지극히 개인주의면서 협력하고 친절한 민족임을
느꼈다.차분하고도 조용한나라 그자체만으로도
힐링이 아닐수 없었다.
여행을 여운으로 달래본다.
http://youtu.be/AdNs_ywgq7g
http://https://youtu.be/AdNs_ywgq7g
http://자연풍경펜션글램핑.kr
'명소소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주산 용지봉을 오르다 (0) | 2018.11.28 |
---|---|
고창 선운사 상사화 (2) | 2018.09.10 |
당사 해양 낚시공원 (0) | 2018.04.22 |
김천 직지사를 찾아서 (0) | 2018.04.05 |
아쿠아플라넷제주에 가다. (0) | 2018.01.23 |